트랜스포머 G1 - 메가트론의 사이버트론 알트 모드

2024. 11. 29. 12:23트랜스포머/G1

728x90
반응형

애니메이션 <트랜스포머 G1>의 메가트론은 사이버트론에 있을 시절 변신하는 묘사가 존재하지 않았기에, 후대 매체에선 대부분 사이버트론에선 탱크로 변신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이는 G2 이후부터 고정된 탱크 모드의 영향이 컸지요.
 
일전에 메가트론의 또 다른 대체 모드로 기획된 제트기 형태 외에도 G1 애니메이션 속 메가트론에게 또 다른 변신체가 기획되었습니다. 바로 사이버트론 변신 모드인데, 이 장면은 제트기 모드와 달리 스토리 보드 조차 존재하지 않지만, G1 메가트론의 사이버트론 변신체가 어떤 모습인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트랜스포머 G1 - 제트기로 변신하는 G1 메가트론!?

의 초대 메가트론은 총으로 변신했습니다. 그러나, 딱 1년 후부터 강화된 총기 완구류 규제로 인해 북미에선 총기 메가트론을 정식으로 출시할 수 없게 됐지요. 그래서 후대 매체에서 다양한 대

roseknightmare.tistory.com


때는 바로 시즌 3의 에피소드 4인 <Five Face of Darkness, part 4>에서 로디머스 프라임이 가사 상태로 리더십의 매트릭스를 탐방해 쿠인테슨과 오토봇과 디셉티콘의 근원을 탐구하던 때였습니다. 로디머스는 선대 오토봇 리더를 만나는 중, 선대 오토봇 리더 중 하나인 U-홀 로봇을 만나게 됩니다.

U-홀 로봇은 극중에서 언급되지 않고 오로지 각본에서만 언급된 이름입니다. 이 캐릭터는 2010년 발간된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 설정집인 <The Allspark Almanac II>의 벡터 프라임에게 물어보세요 코너에서야 센티널 프라임이란 이름으로 명명됩니다. ※ 센티널 프라임이란 캐릭터는 80년도 마블 코믹스 시절부터 존재했으나, U-홀 로봇이 센티널 프라임으로 명명된 것은 21세기에서야 된 케이스입니다.

일전의 시즌 3 시점의 쇼크웨이브 행방과 마찬가지로, 플린트 딜이 각본을 담당한 에피소드입니다.

 

트랜스포머 G1 - 시즌 3에 출연할 예정이었던 쇼크웨이브

애니메이션 에서 쇼크웨이브는 직접 묘사되진 않았지만 극장판인 에서 죽을 운명이었으나 실제로 극중에서 묘사되지 않은 캐릭터 중 하나입니다. 램젯, 스러스트, 더지처럼 사망 묘사가 그려졌

roseknightmare.tistory.com

쇼크웨이브 관련 이야기는 별도로 작성한 글을 참고.

전임 오토봇 리더들이 사망한 후, 새롭게 오토봇 리더가 된 U-홀 로봇은 화력으론 오토봇이 디셉티콘을 이길 수 없다 판단해 변신 기술을 개발합니다. 그렇게 최초의 진정한 트랜스포머가 탄생한 순간이지요.

구 디셉티콘 리더. 그리고 그를 제압하는 U-홀 로봇.

변신 기술로 디셉티콘과의 싸움에서 이점을 얻은 오토봇. 그리고 마침내 U-홀 로봇이 디셉티콘 리더를 쓰러뜨리고 전쟁을 종식합니다.
※ 디셉티콘 리더는 당시 이름이 없던 캐릭터이나 21세기에 '벡터 프라임에게 물어보세요' 코너에서 트래니스 Trannis라는 이름을 얻게 됩니다.

그러나, 디셉티콘들은 오토봇들에게서 변신 기술을 탈취하고 자신들을 이끌 새로운 리더를 만들어 냅니다. 바로, 메가트론이죠.

※ 애니메이션에선 컨스트럭티콘들이 그려져 있는데, 이에 관해선 후술.

그렇게 U-홀 로봇을 죽인 메가트론. U-홀 로봇이 가지고 있던 매트릭스는 젊은 알파 트라이온에게 넘겨져 보관하게 됩니다.


여기까지가 우리가 알던 애니메이션 방영분이고, 플린트 딜이 쓴 각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INT. A DARK ROOM UNDER THE CITY

A gang of Decepticons is building something on a laboratory table. The thing on the table starts to stand up.

"U-HAUL" ROBOT (V.O.) (CONT'D) ... the Decepticons also learned how to transform •.• thus one fateful night, far below the city...

Pull back to reveal the awesome form of MEGATRON, towering over the other Decepticons. The first of a whole new order of Transformer.

"U-HAUL" ROBOT ••• Megatron was born!

INT. THRONE ROOM Megatron BLASTS his way in, in robot mode, transforms to CANNON MODE, and fires on the "U-Haul" Robot! We see the non-transforming robot known as ALPHA TRION (from last season's "War Dawn" episode) enter the shot. The "U-Haul" Robot passes the matrix to him. The narrator's voice changes again ...


내부 – 도시 아래의 어두운 방
디셉티콘 무리가 실험실 책상 위에서 무언가를 조립하고 있다. 책상 위에 놓인 그 물체가 서서히 일어서기 시작한다.

"U-홀" 로봇 (목소리): (계속)"...디셉티콘들도 변신하는 방법을 익혔다. …그러던 어느 운명의 밤, 도시 깊은 아래에서…"

(카메라가 뒤로 빠지며 디셉티콘들을 압도하는 거대한 메가트론의 모습이 드러난다.)새로운 트랜스포머의 질서를 대표하는 최초의 존재였다.

"U-홀" 로봇: 메가트론이 탄생했다!"

내부 – 왕좌의 방
메가트론이 로봇 모드로 방에 난입한다. 그는 대포 모드로 변신하여 "U-홀" 로봇을 향해 포격한다! 그 순간, 지난 시즌 "War Dawn" 에피소드에서 등장했던 변신하지 않는 로봇 알파 트라이온이 화면에 등장한다. "U-홀" 로봇은 매트릭스를 알파 트라이온에게 넘긴다.(그와 동시에, 내레이터의 목소리가 또다시 변화한다...)

플린트 딜이 쓴 각본은 애니메이션에서 많이 생략된 장면들이 묘사됩니다. 우선, 메가트론을 창조한 디셉티콘들은 컨스트럭티콘들이라 명시되지 않습니다. 플린트 딜은 당시 소비자에게 공개되지 않은 제작자들만 볼 수 있는 캐릭터 프로필들을 별도로 가지고 있던 사람이라 그러한 실수를 할 일이 없습니다. 컨스트럭티콘들이 메가트론을 창조하는 연출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잘못 만든 장면인 셈.

※ 당시 에피소드를 담당한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AKOM은 작화 오류가 상당히 많았던 회사입니다.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메가트론은 애니메이션 완성본과 달리 대포로 변신해서 U-홀 로봇을 죽입니다. 변신하는 장면이 존재한다는 것은, 디셉티콘 역시 변신 기술이 새롭게 생겨났기에, 오토봇과 디셉티콘의 내전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장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장면은 영상화되지 못 했고 메가트론의 사이버트론 변신체를 영영 알 수 없게 됐지요.

<Heavy Metal War>의 스토리 보드와 애니메이션 제작용 시트.

제트기로 변신하는 메가트론의 자료가 남은 것은 스토리 보드의 모습과 애니메이션 제작용 캐릭터 시트가 남아 있었고, 이 자료가 선보우 마블 아카이브에 전해져 보존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Five Face of Darkness>의 스토리 보드는 현재로선 존재하지 않는 자료입니다(세상 어딘가에 남아 있을지 모르는 일입니다). 때문에 스토리 보드에서 메가트론의 변신체가 그려졌는지, 아니면 그냥 로봇 모드로 공격하는 최종 장면으로 그려졌는지는, 당시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AKOM 말고는 모르는 일입니다. 각본가인 플린트 딜에게 물어보는 방법도 있겠지만…

갈바트론의 알트 모드.


애니메이션 메가트론의 대포 모드는 시각화된 어떠한 자료도 존재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때문에 이것이 갈바트론의 변신체 같은 이동형 대포인지, 고정 대포인지 알 수 없는 부분이지만, 상상력을 자극하는 내용물임은 분명합니다.


에너존 유니버스에서 제시된 메가트론의 사이버트론 알트 모드. 탱크 형태의 레이저건이다.

결국, G1 애니메이션 속 메가트론의 변신체가 무엇인지 설정상으로만 제시된 흔적만 존재한다 볼 수 있으나, 그 모습은 영영 알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나마 어떤 것으로 변신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내용이 아닐 수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